DNS 관리 (레코드 수정)
우선 DNS 레코드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이 IWINV DNS 에 등록되어 있어야 하는데 'DNS 등록하기' 문서를 클릭하여 참고 할 수 있다.
레코드는 도메인이 어느 아이피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 공간이며 DNS 안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레코드 정보안에는 아래와 같이 도메인 주소와 아이피와 매칭되는 구조로 해서 저장된다.
| www.iwinv.kr --> 123.456.78.90 help.iwinv.kr --> 123.456.78.91 console.iwinv.kr --> 123.456.78.92 | 
∗ 위 값들은 레코드 정보안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서브도메인 (www, help, console) 에 대한 정보와 오른쪽 아이피 정보를 변경 할 수 있다.
help.iwinv.kr 이 마음에 안들어 doc.iwinv.kr 로 바꾸고 console.iwinv.kr 의 서버 아이피가 123.456.78.93 으로 변경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바꿔야 한다.
| www.iwinv.kr --> 123.456.78.90 doc.iwinv.kr --> 123.456.78.91 console.iwinv.kr --> 123.456.78.93 | 
이와 같이 DNS에 등록된 도메인에 대한 레코드 정보를 추가/삭제/변경 하는것을 '레코드 수정' 이라고 아래 내용을 참고하도록 한다.
레코드 정보 수정하기
DNS 레코드 수정은 아래 경로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 관리콘솔 (console.iwinv.kr) - 도메인 & DNS - DNS 관리 | 
1. 도메인 레코드 정보 확인 (도메인을 정상적으로 등록하였다면 관리콘솔에서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
 
 
2. 레코드를 등록 (수정) 할 도메인을 선택한 후 '레코드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진행 할 수 있다.

3. '레코드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하고 오른쪽에 ' X ' 표시를 누르면 삭제 할 수 있다.

4.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결과값이 창으로 표시되고 정상적으로 수정된 화면

5. 내가 추가한 레코드 값이 아래 상세정보창에 표시된다.

NOTE
일반적으로 레코드를 수정할때 'kensei.co.kr' 과 'www.kensei.co.kr' 두개의 도메인을 홈페이지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아래 두가지 레코드 설정이 필요하다.
| kensei.co.kr -->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은 빈공란 www.kensei.co.kr --> www 입력 | 

아래는 레코드 수정할때 도움이 되는 추가 설명들이다.
첫째 라인 SOA 레코드는 수정 부분은 수정이 불가능하며 제일 마지막 TTL 값은 변경 가능하다.
 
TTL
| TTL 은 네임서버간 캐싱하는 시간이라 보면 되며 레코드를 수정하였을때 업데이트 되는 시간(초) 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기본적으로 TTL 은 86400초 (1일) 로 설정되어 있으며 값은 3600 ~ 604800 사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 
∗ TTL 값에 따라 아래와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TTL 값이 작은 경우
| 장점 : DNS 레코드 수정시 캐시 DNS 에 빠르게 전달 단점 : 캐시 DNS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므로 DNS 장애 발생시 또한 빠른 장애로 이어진다. | 
TTL 값이 클 경우
| 장점 : DNS 서버 장애시 장애가 느리게 발생된다. 단점 : 캐시 DNS 에 정보가 느리게 반영되므로 레코드 변경시 늦게 적용된다. | 
∗ 일반적인 DNS 운영시 권장값은 1일이며 운영하면서 자신의 서비스에 적절한 TTL 값을 조정하도록 하자
등록 가능한 레코드 종류
A 레코드 (아이피 주소 입력)
| DNS 서브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하는 역활 | 
CNAME 레코드 (도메인 입력)
| DNS 서브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에 매핑하는 역활 | 
MX 레코드 (메일서버 도메인 혹은 아이피 입력)
| DNS 서브 도메인 이름을 메일 교환하거나 전달하는 컴퓨터의 이름에 매핑 우선순위는 (0 ~ 65535) 까지 지정 가능, 값이 낮을수록 우선순위를 가진다. | 
TXT 레코드 (텍스트 문자열 입력)
| 호스트에 대한 텍스트 정보 | 
∗ 용도는 SPF 레코드 정보를 입력하거나 혹은 도메인 소유권 인증 에 주로 사용된다.
SPF (Sender Policy Framework) 레코드
| 메일수신서버가 DNS에 설정되어 있는 TXT의 아이피를 참고하여 값이 틀릴경우 메일을 차단할때 사용된다. 사용자가 메일을 발송할때 수신측에서 메일을 SPF 레코드 값으로 검증할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메일 발송하는 입장이라면 설정하는것이 좋다 | 
SPF 텍스트 정보는 간단하게 작성할수 있는데 아래 KISA 페이지에서 도메인과 아이피를 입력하면 완성해주는 기능이 있다.
| KISA 불법스팸대응센터 SFP 레코드 작성 도우미 | 
KISA 불법스팸대응센터 > 서비스 신청.문의 > SPF(메일서버등록제) > SPF Record 작성 도우미
내가 입력한 레코드 정보 조회해보기
위 레코드 정보를 입력 (수정) 하였다면 반드시 실제 질의가 잘 되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예제) 윈도우 OS에서 실행창에서 cmd를 입력하고 커맨드창에서 아래를 입력해본다.
| C:\Users\smile>nslookup (입력) 
 > server ns1.iwinv.kr (입력) --> ns1.iwinv.kr (DNS)에 질의를 하겠다는 의미 
 > kensei.co.kr (입력) 이름: kensei.co.kr --> ns1.iwinv.kr (DNS) 에 kensei.co.kr 도메인으로 연결된 아이피는 무엇이냐? --> ns1.iwinv.kr 부터 응답 123.456.78.90 이다. 
 > www.kensei.co.kr (입력) 이름: www.kensei.co.kr --> ns1.iwinv.kr (DNS) 에 www.kensei.co.kr 도메인으로 연결된 아이피는 무엇이냐? --> ns1.iwinv.kr 부터 응답 123.456.78.91 이다. | 
IWINV DNS (ns1.iwinv.kr) 에 저장되어 있는 레코드 정보
| kensei.co.kr --> 123.456.78.90 www.kensei.co.kr --> 123.456.78.91 | 
레코드 수정에서 내가 입력한 도메인과 아이피가 정확히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것으로 보면 되며
레코드 수정하였다고 하더라도 네임서버간에 갱신되는 시간이 걸리므로 위치에 따라 바로 안 바뀔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