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스토리지 관리
IWINV는 SSD와 SATA 타입의 블록 스토리지를 제공하며 관리자는 이를 서버에 추가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블록 스토리지 서버는 RAID로 구성되어있어 OS 영역 공간보다 더 안전하며 중요한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도록
서버에 블록 스토리지를 추가할 것을 권장합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서버당 3대까지 추가가 가능하며 타입에 따라 지원되는 용량이 다르니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블록 스토리지 사양
서버별 블록 스토리지 경로
관리콘솔 (console.iwinv.kr) - 서버 - 가상서버 - Disk - 디스크 관리 바로가기 : https://console.iwinv.kr/volume/ (가상서버 블록 스토리지) 바로가기 : https://console.iwinv.kr/disk/ (리얼서버 블록 스토리지) |
블록 스토리지 추가하기
1. '블록 스토리지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버가 없다면 블록 스토리지 신청이 불가능하니 서버 생성을 진행 후 추가합니다.
2. 서버가 1대 이상 있다면 블록 스토리지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입력한 후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버 : 블록 스토리지를 사용할 서버 선택 이름 : 블록 스토리지 이름 입력 종류 : SSD(Solid State Drive) Block, SATA Block x4 Hard Raid 용량 : SSD(10G ~ 2,000G), SATA(50G ~ 20,000G)입력 가능 (최초 생성후 용량 변경은 불가능) 비용 : SSD : 10G당 / 월 1,600원 SATA : 10G당 / 월 300원 설명 : 블록 스토리지에 대한 간단한 메모를 입력 |
3. 조금 기다리면 블록 스토리지가 생성된걸 볼수있습니다.
서버에서 추가된 블록 스토리지 설정하기
블록 스토리지를 추가한 후 사용하려면 서버에서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며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진행합니다.
1. 서버에서 블록 스토리지 장착 여부 확인
[root@iwinvhelper-2196 ~]# fdisk -l (입력)
# OS 디스크 Disk /dev/vda: 26.8 GB, 2684354560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 블록스토리지 디스크 Disk /dev/vdb: 10.7 GB, 10737418240 bytes |
2. 블록스토리지 파티션 설정
[root@iwinvhelper-2196 ~]# fdisk /dev/vdb (입력) Warning: invalid flag 0x0000 of partition table 4 will be corrected by w(rite) WARNING: DOS-compatible mode is deprecated. It's strongly recommended to Command (m for help): n (입력) Command (m for help): wq (입력)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
3. 블록 스토리지 디스크 포맷
[root@iwinvhelper-2196 ~]# mkfs.ext4 /dev/vdb1 (입력) Writing inode tables: done This filesystem will be automatically checked every 39 mounts or |
4. 블록스토리지 UUID 확인
[root@iwinvhelper-2196 ~]# blkid (입력) /dev/vda1: UUID="8328eca5-aa6e-4820-80d9-373ed1627d7c" TYPE="ext4" /dev/vdb1: UUID="fd68aff1-0dd4-42d2-8ef9-6d6dd1814df1" TYPE="ext4" |
5. 마운트 하기
[root@iwinvhelper-2196 ~]# mount UUID="fd68aff1-0dd4-42d2-8ef9-6d6dd1814df1" /mnt (입력) |
6. /etc/fstab 에 파티션 추가
UUID=8328eca5-aa6e-4820-80d9-373ed1627d7c / ext4 defaults 1 1 UUID=fd68aff1-0dd4-42d2-8ef9-6d6dd1814df1 /mnt ext4 defaults,nofail 0 2 (라인추가)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
6. 시스템 리부팅 (시스템 리부팅후 마운트가 잘 되는지 확인하는것이며 꼭 할 필요는 없습니다.)
[root@iwinvhelper-2196 mnt]# reboot (입력) Broadcast message from root@iwinvhelper-2196 The system is going down for reboot NOW! |
7. 다시 접속후 파티션 확인
[root@iwinvhelper-2196 ~]# df -Th (입력)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vda1 ext4 25G 643M 23G 3% / tmpfs tmpfs 250M 0 250M 0% /dev/shm /dev/vdb1 ext4 9.8G 23M 9.2G 1% /mnt (마운트가 성공적으로 완료) |
블록 스토리지 ATTACH / DETATCH
추가한 블록 스토리지를 ATTACH (장착), DETATCH (해제)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위에서 추가한 블록스토리지를 DETATCH (해제)를 사용하여 해제 해보겠습니다.
1. DETATCH 할 블록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화면에서 '블록 스토리지 Attach / Detach' 를 클릭합니다.
2. 아래 화면에서 'Detach' 를 선택 한 후 '블록 스토리지 수정' 을 클릭합니다.
3. Detach 가 진행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블록 스토리지 관리에서 정상적으로 Detach 된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서버에서 Detach 된 블록스토리지 제거하기
1. 예시로 3개의 블록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root@iwinvhelper-303 ~]# fdisk -l
# OS 리눅스 Disk /dev/vda: 26.8 GB, 2684354560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 블록스토리지1 Disk /dev/vdb: 10.7 GB, 1073741824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 블록스토리지2 Disk /dev/vdc: 10.7 GB, 1073741824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 블록스토리지3 Disk /dev/vdd: 21.5 GB, 214748364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
2. 특정 블록스토리지 2개를 삭제했습니다.
3. 서버에서 확인 (블록스토리지 2, 3 이 제거된상태)
[root@iwinvhelper-303 mnt1]# fdisk -l (입력)
# OS 리눅스 Disk /dev/vda: 26.8 GB, 2684354560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 블록스토리지 1 Disk /dev/vdb: 10.7 GB, 1073741824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
4. 제거된 블록스토리지 확인 및 언마운트
[root@iwinvhelper-303 mnt1]# df -Th (입력)
[root@iwinvhelper-303 mnt1]# cd /mnt1 (입력)
# 마운트 제거 [root@iwinvhelper-303 /]# umount /dev/vdc1 (입력) [root@iwinvhelper-303 /]# umount /dev/vdd1 (입력) |
5. /etc/fstab 파일 수정 (아래 2라인을 제거하고 저장)
UUID=ad11bafe-de2c-4d3f-be13-51dd0ef0d819 / ext4 defaults 1 1 UUID=dc9dce12-d89c-40a4-8261-8bd2c0ed7bc7 /mnt ext4 defaults,nofail 0 2 UUID=d1a3cf37-a838-4cbb-a4b6-895c540f421c /mnt1 ext4 defaults 0 1 (라인제거) UUID=d73a2cf2-2488-42d1-b737-86cfa5559702 /mnt2 ext4 defaults 0 1 (라인제거)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
블록 스토리지는 3개 까지 추가 가능하며 "/dev/sdb, /dev/sdc, /dev/sdd"와 같은 형식으로 할당됩니다. 이때 관리콘솔(console.iwinv.kr) 에서
보이는 블록 스토리지와 OS상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블록 스토리지의 매칭이 어려울수 있습니다. 이때는 블록스토리지 정보 수정 기능의 설명 부분을
아래와 같이 활용 해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NOTE
디스크 추가 한 후 실제 서버에서 마운트 명령어를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디스크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용료는 부과되며 디스크의 비용을 부담하고 싶지 않다면 블록 스토리지를 삭제 해야 합니다. 오토스케일에서 추가디스크를 이용하면 시간요금제, 가상서버에서 사용하면 일간요금제가 적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