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호스팅 계정 백업
웹호스팅 서비스에서는 따로 백업 설정이 어려운 사용자를 위하여 백업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간단히 웹호스팅 계정 관리화면에서 마우스 클릭으로 백업이 가능하며 FTP 로 접속하여 백업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백업되는 데이터는 DB (데이터베이스) 와 FTP (홈페이지 소스 파일) 두가지이다.
백업 기능 위치
관리콘솔 (console.iwinv.kr) - 계정 - 웹 호스팅 - 계정 관리 - 우측 컨트롤 메뉴 (계정 백업하기) 바로가기 : http://console.iwinv.kr/web |
디스크 사용량 확인
웹 호스팅 서비스는 별도의 백업 공간을 제공하지 않고 계정의 저장공간을 활용하므로 관리콘솔 상단 정보창 '디스크 사용률' 을 확인해야 한다.
위 화면에서는 은회색이 100% 이므로 빈공간이 100% 라는 의미이며 데이터가 아무것도 없는 상태나 서비스 신청 초기 상태를 의미한다.
디스크 사용률 색상에 따른 의미
초록색 : FTP (홈페이지 파일) 검정색 : DB (데이터 베이스 파일) 은회색 : 빈 공간 빨강색 : 초과중 (위험한 상태) |
현재 디스크 용량이 50% 넘지 않는 상태에서 백업하는것이 안전하며 50% 넘은 상태에서 백업을 하는 경우 백업된 파일로 인하여 디스크 사용률이 100%가 넘어
용량부족으로 홈페이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혹시라도 디스크 사용률이 50% 넘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리가 어렵거나 백업을 해야 하는 경우 온라인 기술지원 요청을 통해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웹호스팅 계정 백업
1. 관리콘솔 화면에서 백업할 웹 호스팅 계정을 마우스로 선택한후 컨트롤 메뉴 '계정 백업' 을 선택한다.
2. 아래 백업 설정 화면이 열리는데 FTP 와 DB 중에 백업 하고 싶은것을 선택하고 '계정 백업' 버튼을 클릭한다.
백업 데이터 선택
• FTP 는 web root 디렉토리 '/' , 즉 /public_html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을 압축하여 압축파일로 생성한다. (홈페이지 파일) • DB 는 현재 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된 데이터를 덤프 형식으로 저장후 다시 압축 파일로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 덤프 파일) |
∗ 생성된 백업 압축 파일은 경로 /backup 디렉토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3. 계정 백업이 성공적으로 신청되었다.
4. 실제로 백업이 성공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FTP로 접속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sql 확장자로 끝나는 파일은 현재 데이터베이스 덤프 파일이며 tar.gz 확장자로 끝나는 파일은 /public_html 디렉토리의 압축파일이다.
두가지 백업파일을 날짜별로 잘 보관하고 있다면 나중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쉽게 복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자주
백업을 하고 백업파일을 별도 저장매체에 보관하고 있는것이 서비스에 유리하다.
NOTE
• 별도의 백업공간이 제공되지 않으며 백업시 자신의 웹호스팅 계정 저장공간 이용한다. • 웹호스팅 계정 초기화 및 계정 삭제 기능을 실행하면 위에 백업기능을 통해 생성된 모든 파일이 삭제되니 유의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