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링 (리소스) 이용하기
리소스 모니터링 서비스는 가상서버의 자원 (CPU, 메모리) 의 사용상태를 그래프로 보여주고 임계치 이상 올라가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보내주는 서비스이다.
포트 모니터링은 단순히 서비스 포트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는 반면 리소스 모니터링은 서버의 자원 사용량 즉 서버가 얼마나 부하를 받고 있는지 체크가 가능하다.
1분에 1번 3회 연속 지정된 임계치를 오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킨다.
리소스 알람 문자를 받으면 사용자는 현재 서버에 부하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고 그 이유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아니면 접속자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거나
하는 등의 원인일수 있으며 사용자는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나 증상을 점검해야 한다.
사용자가 단독으로 증상 파악이나 해결이 힘든 경우 온라인 기술지원 요청을 하여 기술지원을 받는것이 좋다.
현재 리소스 모니터링은 가상서버 서비스에서만 지원하고 있다.
관리콘솔 (console.iwinv.kr) - 서버 - 가상서버 |
리소스 모니터링 설정하기
1. 위 화면에서 설정할 서버를 선택하고 'Resource 모니터링 설정변경' 을 클릭한다.
2. 활성화 ON 위치시키고 CPU와 메모리의 임계치를 지정하고 연락받을 매체를 선택한후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임계치는 20 ~ 90 사이 값 입력이 가능하다.
3. 설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
4. 설정이 완료되면 서버관리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리소스 모니터링 상태
off : off로 설정하였거나 등록된 리소스 모니터링이 없을때 쾌적 : on 설정이 되어 있으며 등록된 resource 모니터링에 이상이 없을때 부하임박 : 등록된 resource 모니터링이 설정한 임계치에 90% 도달하였을때 부하심각 : 등록된 resource 모니터링이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 하였을때 |
5. 서버의 리소스 확인은 'Resource 모니터링' 필드에 차트라는 부분을 클릭하면 확인 가능하다.
6. 아래 그래프가 출력되고 시간별 부하율 수치가 시각적으로 표기된다.
서버 부하 및 임계치 설정 요령
CPU 와 Memory 를 모니터링 하는 이유?
서버가 일을 많이 하게 되면 CPU (연산장치) 혹은 메모리 (주 기억장치) 에 사용량이 올라간다. 사용자는 그래프 형태로 부하 상태를 관찰이 가능하므로 어떤 시간대에 부하가 많은지는 예측이 가능하다 |
Resource 임계치 수정
리소스 모니터링을 이용하면서 임계치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실제로 70~80 % 사이로 임계치를 지정하였는데 서버에 접속해보니 문제나 서비스에는 영향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면 임계치를 조금 상향조정이 필요하며 알람이 울리지 않았는데 서버에 부하가 있고 서비스가 원할하지 않다면 임계치를 조금 하향 조절 할 필요가 있는것이다.
각 서버별 사양 (스펙)과 운영되는 프로그램과 환경이 다르므로 사용자가 리소스 모니터링을 이용하면서 최적의 임계치 값을 찾는것이 중요하다. |
사용자는 서버를 신청하고 포트모니터링과 리소스 모니터링을 같이 사용하여 서버를 운영하는것을 추천하며
하루에 1번 이상 서버의 리소스 그래프 추이를 살펴보는것이 서버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
NOTE
LMS 발송시 건당 50원이 요금이 청구되니 되도록 Telegram 으로 설정하는것이 요금절감 효과가 된다. IWINV 전체의 일시적인 네트워크 순단이나 장애로 인해 간혹 오탐 알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추가 아이피에 대한 모니터링은 불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