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press Engine 설치
Xpress Engine 은 예전 '제로보드' 라고 알려져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관리 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현재는 'NHN' 에 인수되어 지원을 받고 있으며 명칭은 '제로보드 xe' 혹은 Express Engine (XE) 이라고 부르고 있다.
손쉽게 홈페이지 구축이 가능하며 국내 제작 도구여서 손쉽게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게 Xpress Engine 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Express Engine 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한다.
https://www.xpressengine.com (Xpress Engine 공식사이트) |
Xpress Engine 인스톨 파일 설치
대시보드에서 Xpress Engine 인스톨 파일 설치
대시보드 (console.iwinv.kr) - 계정 - 웹호스팅 - 계정관리 - 컨트롤 메뉴 (프로그램 설치) 바로가기 : http://console.iwinv.kr/web |
1. 웹호스팅 계정관리 오른쪽 컨트롤 메뉴 '프로그램 설치' 를 클릭한다.
2. 프로그램 목록에서 'Xpress Engine' 를 선택하고 '프로그램 설치' 를 클릭한다.
3. 안내 문구를 읽고 '확인' 을 클릭한다.
4. 대시보드에서 계정 status ' 작업중 ' 이라고 변경되며 완료되면 '운영중' 이라고 바뀌면 설치가 완료된것이다.
5. 웹호스팅 서버에 디렉토리 'public_html/xe' 라고 디렉토리와 파일이 생성되었다.
Xpress Engine 설치하기
대시보드에서 인스톨 파일 설치가 완료되고 그 이후 설치부터는 '인터넷 브라우저' 를 통하여 진행한다.
나의 웹호스팅 ID가 'iwinvtest' 라고 가정하고 설치를 진행해보겠다.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아래 URL 을 입력한다. (웹호스팅id.iwinv.net/xe)
http://iwinvtest.iwinv.kr/xe |
NOTE
Xpress Engine 설치할때 웹방화벽은 OFF 로 해둬야 에러없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진행된다. |
1. URL을 브라우저에 입력한 후, 아래 화면에서 설치할 언어를 '한국어' 로 선택하고 '다음' 을 클릭한다.
2. 사용권 (이용약관) 동의 화면이다. 아래쪽 '사용권에 대해 이해했으며, 이에 동의합니다.' 부분에 체크후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3. XE 설치 여부 확인 후 ' 설치를 진행합니다. ' 클릭한다.
4. 데이터베이스 종류를 선택하는것이다. (서비스 신청에서 'innodb' 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mysqli 를 선택한다)
: XE에서는 MariaDB 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선택 부분이 없으므로 호환이 되는 mysql 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 웹호스팅 서비스에서는 기본적으로 InnoDB를 제공하지 않는다, InnoDB가 필요한 경우 DB 호스팅을 이용하자)
5. 데이터베이스 정보 입력란이다. 웹호스팅 계정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 한 후 '다음' 을 클릭한다.
: iwinv 웹호스팅 아이디가 iwinvtest 이면 DB아이디 : iwinvtest, DB 이름 : iwinvtest 이다.
6. 시간 설정, 'Korea Standard time, Japan Standard time' 을 선택하고 'Next' 클릭한다.
7. XE 에서 사용할 계정정보 입력화면이다. 입력후 'Done' 을 클릭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8. XE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 페이지가 열린다. 로그인 하여 홈페이지 제작을 진행하면 된다.
간단하게 웹호스팅 서버에 'Xpress Engine' 을 설치해보았다.
Xpress Engine, DB, PHP 버전 및 웹호스팅 환경에 따라 설치방법이 약간씩 다를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가 진행된다.
관련링크
•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http://help.iwinv.kr/manual/read.html?idx=336)
• GNU BOARD 설치하기 (http://help.iwinv.kr/manual/read.html?idx=341)
• KIMSQ 설치하기 (http://help.iwinv.kr/manual/read.html?idx=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