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밸런서&오토스케일

이경현 에반젤리스트

로드밸런서 생성/삭제

 

로드밸런서는 사이트에 접속자가 많아서 서버 1대로 처리가 어려운 경우 서버를 2대 이상 구성하고 부하를 분산시켜 서비스를 하는 서비스이다.

  

로드밸런서에 대한 설명은 '로드밸런서 이해' 를 클릭하면 간단한 개념 설명을 참고 할 수 있다.

 

 

 

로드밸런서 생성하기


 

 

경로

관리콘솔 (console.iwinv.kr) - 서버 - 가상서버 (탭) - 로드밸런서 관리

바로가기 : https://console.iwinv.kr/lb/

 

 

 

'로드밸런서 생성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로드밸런서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1.ZONE 선택 


 

 

로드밸런서를 생성할 ZONE을 선택한다. 

∗ 배분할 서버가 있는 ZONE을 선택해야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2. 로드밸런서 이름을 입력하고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웹사이트를 분배하는 경우 source hashing 추천)

 

 

 

∗ 스케쥴 알고리즘 선택

Round Robin

  • 주로 이미지 서비스나 세션유지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에 이용되며 분배가 비교적 고루게 분배된다.

 

Source Hashing

  • 주로 웹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며 접속자의 세션을 보장하며 세션으로 인해 정확한 1:1 분배는 이뤄지지 않는다.

∗ 주로 웹서비스는 Source Hashing 을 선택하고 나머지 세션 유지가 필요 없는 서비스는 Round Robin을 선택한다.

 

 

 

3. 서비스 포트 설정

 

TCP 직접 입력 : 0 ~ 65535 하나의 포트를 입력하면 된다.

HTTP : 웹서비스 (TCP 80번 포트)

HTTPS : 보안 웹 서비스 (TCP 443포트)

 

# 모니터링 체크간격 : 분배발을 서버에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체크간격을 의미한다.

# 응답 대기시간 : 분배발을 서버에  이상유무를 체크하기위한 응답대기 시간을 의미한다.

∗ HTTPS 는 분배하려는 서버에 보안서버 (SSL 인증서) 가 구축되어 있다면 HTTPS (TCP 443) 포트도 추가해야 한다.

 

왼쪽 입력폼은 로드밸런서로 받을 포트이며 오른쪽 입력란은 왼쪽에 등록한 포트로 받아서 다시 서버로 내보낼 포트번호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포트번호를 입력하면 되며 서버에서 포트번호를 변경한 경우나 포트번호를 바꿔서 서비스 하는 경우에는 왼쪽과 오른쪽 다른 포트번호를 입력한다.

 

'서비스 Port 추가하기' 를 클릭하여 포트번호를 계속 입력할 수 있으며 완료하였으면 '방화벽 설정하기' 를 클릭하여 다음 설정으로 넘어간다.

 

 

 

4. 방화벽 설정하기

 

 

로드밸런서도 가상서버와 마찬가지로 방화벽 설정을 할 수 있다. 

주의할점은 서비스포트로 등록한 포트는 방화벽에서 다 열어줘야 한다.

∗ 방화벽은 서비스 로드밸런서 설정 완료후에도 변경이 가능하다.

 

방화벽 보안 설정보다 최대한의 많은 접속자와 빠른 응답을 원하는 사용자는 '방화벽 사용하지 않음' 에 체크하는게 유리하다.

 

∗ Linux // Windows 방화벽 기본 Rule 적용하기  선택시  자동으로 Rule이 설정된다.

 

 

 

5. 분배할 가상서버 선택

 

여기에서는 분배할 가상서버를 선택한다. 

로드밸런서 생성이후에도 변경이 가능하다.

 ∗ 오토스케일 서비스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가상서버를 선택하지 않고 넘어간다.

 

 

 

6. 마지막으로 확인하기를 클릭하면 설정한 내역을 확인 할 수 있다.

 

 

 

 

7. 설정한 내용을 확인후 '신청하기' 를 클릭하면 신청이 진행된다.

load8

 

 

 

7. 아래와 같이 로드밸런서 신청이 완료되고 설치중인 모습

 

∗ 셋팅이 완료되면 IP 부분에 로드밸런서 IP가 부여되는데 로드밸런서로 연결할 도메인과 로드밸런서 IP와 매핑하면 된다.

 

 

비교적 간단하게 로드밸런서 신청을 완료하였다. 로드밸런서는 설정이후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실제로 분배가 잘되고 있는지 주기적인 체크가 필요하다.

 

 

 

NOTE

실제 서비스를 하기전에 로드밸런서와 연동 테스팅을 충분히 하고 실제 서비스를 개시하는것이 좋다.

사용자의 서비스에 따라 서버들간에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다.

서버와 로드밸런서 그룹을 동시에 분배할수 없으며 2개 이상의 로드밸런서 그룹을 분배 할 수 없다 

 

 

 

 

로드밸런서 삭제하기


 

 

더 이상 로드밸런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삭제하는것이 이용요금에 유리하다. 사용하지 않더라도 생성되어 있으면 비용이 청구되므로

 

이용하지 않으면 바로 삭제한다. 하지만 삭제한 뒤 다시 생성할때 동일한 아이피 사용이 불가능하니 같은 아이피를 계속 유지하려는 경우는 삭제 하지 않아야 한다.

 

 

1. 삭제할 로드밸런서를 선택한 뒤 오른쪽 컨트롤 메뉴에서 '로드밸런서 삭제하기' 메뉴을 클릭한다.

 

 

 

2. 아래와 같이 삭제가 안되는 경우 로드밸런서와 연결된 서버들의 분배를 먼저 제거해야 한다.

loaddel2

 

 

 

3. 로드밸런서 관리에서 하단탭메뉴 (서버현황) 에서 '로드밸런서 서버 추가/제거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4. 체크박스 옵션을 모두 제거한후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loaddel4

 

 

 

5. 로드밸런서와 연결된 서버가 모두 제거되었다. '확인' 을 클릭한다.

loaddel5

 

 

 

6. 다시 로드밸랜서를 삭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창이 열리고 IWINV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드밸런서 삭제' 를 클릭한다.

loaddel6

 

 

 

7. 로드밸런서 삭제가 진행중이다.

loaddel7

 

 

 

8. 로드밸런서 삭제가 완료되었다.

loaddel8

 

 

 

 

NOTE

로드밸런서를 삭제하고 다시 신청하면 그전에 사용하던 로드밸런서 아이피를 사용 할수 없다.

처음 할당받은 로드밸런서 아이피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로드밸런서를 삭제하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