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버

차동훈 에반젤리스트

가상서버 이미지 관리

 

가상서버는 이미지 형태로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이미지를 생성하면 블록단위로 하나의 정적 이미지 파일에 서버의 모든 데이터가 복사된다.

 

저장된 이미지는 서버를 새로 생성할때 혹은 오토스케일에서 서버를 생성할때 이미지 형태로 불러 와서 똑같이 생성 할 수 있다.

그외 사용자는 이미지를 만듬으로써 백업적인 개념으로도 활용을 할 수 있다.

 

이미지를 무제한 생성할 수 있는건 아니며 사용자가 신청한 서비스의 2배에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상 서버 (25Gbyte)  1대를 신청하면 이미지 저장공간을 50Gbyte 제공하며 서버 이미지는 최대 2개까지 생성 가능하다.

가상서버와 블록스토리지 100G를 신청하면 가상서버 (25G) + 블록스토리지 (100G) = 125G 이며 이미지 공간은 2배인 250Gbyte 기본 제공한다.

 

 

 

 

이미지 생성


   

 

이미지 생성 가능한 항목은 아래와 같다.

가상서버 OS

블록 스토리지

∗ 서버에 디스크를 추가하여 사용중이라면 OS 이미지 1개, 블록스토리지 이미지 1개,  총 2개의 이미지가 생성된다 

 

 

 

각 이미지는 아래의 정보를 가진다.

이미지 이름 : 백업된 이미지의 이름 정보

ID : 이미지 파일들을 구분하는 고유한 일련의 문자열

용량 : 이미지 파일의 크기, 백업하는 대상에 따라 그리고 블록스토리지 여부에 따라 용량은 틀려질수 있음

서버이름 : 본 이미지가 어느 서버로 부터 저장된것인지 링크

운영체제 : 이미지로 저장할때 서버가 사용중인 운영체제

Status : 현재 이미지에 대한 상태

생성일 :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 날짜와 시간

설명 :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에 대한 메모를 남길수 있는 필드이다.

 

 

 

 

서버를 이미지로 백업하기


 

 

1. 관리콘솔 - 서버 - 서버관리 - 오른쪽 컨트롤 메뉴 (서버 이미지 생성하기) 를 선택

 

 

 

2. 생성할 서버 이미지 정보 입력

image1

위와 같은 창이 뜨며 확인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1)이미지로 만들고자 하는 가상서버의 이름.

2)만들어질 이미지의 이름.

3)간단한 이미지에 대한 설명.

4)추가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있는 서버라면 추가 스토리지도 같이 이미지화 할 수 있다.  

∗ 추가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추가스토리지를 제외하고 이미지를 만들었을 경우 fstab등 디스크 관련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추가 스토리지도 함께 이미지로 만들었을 경우 "블록 스토리지 이미지 관리" 탭에 저장되며, OS이미지에 종속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삭제 할 수 없다.

 

 

 

3. 생성된 이미지는 좌측 메뉴 '서버 이미지 관리' 에서 확인 가능하다.

 

 

 

4. 블록스토리지의 이미지는 좌측메뉴 '블록 스토리지 이미지 관리' 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서버 생성하기


 

 

 

 

위 방법대로 가상서버 이미지를 생성하였다면 이미지를 이용한 서버 생성이 가능하다.

 

생성된 이미지는 서버 이미지 관리 메뉴에서 확인 가능하다.

 

 

 

 

 

 

 

NOTE

서버의 아이피가 고정 (static) 인 경우는 서버 복제후 콘솔모드에서 아이피 셋팅을 해야한다. 

백업은 이미지 파일의 무결성을 위해 운영중이 서버를 파워 OFF 한 다음 진행하는것을 추천한다.

이미지 백업은 서버 상태가 "운영중" 이거나 "정지" 상태에서만 가능하며 정지 상태에서 이미지 백업을 추천한다.